Problem Statements


금융포용 분야 Financial Health

저소득, 낮은 신용, 정보의 부족 및 비대칭, 금융에
대한 어려운 접근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누구라도
‘금융소외’가 될 수 있습니다.

헬스케어 분야 Health Care

경제적 여건으로 의료 접근과 이용 저하,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정신 건강 악화 등으로 인해 여전히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소외되는 이들이 있습니다.

*파이낸셜헬스(Financial Health)란? 예산에 맞는 지출관리(Spend), 저축습관 형성(Save), 부채와 예측할 수 없는 재무적 위기상황을 대비하는 것(Borrow), 미래와 노후를 위한 준비(Plan)를 일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금융포용 분야 Financial Health

소득과 지출관리, 저축, 신용, 대출, 보험, 노후준비 등의 금융생활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쉽게 실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. 특히, 저소득층과 중위소득(low to moderate income)에게는 더욱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.

헬스케어 분야 Health Care

건강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행복한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. 시공간을 초월하는 사용자 맞춤형의 질 높은 헬스케어 서비스와 예방에 중심을 둔 케어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건강을 손쉽게 관리해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.

금융포용 분야 Financial Health

헬스케어 분야 Health Care


Problem Statements

금융포용 분야

Financial Health

저소득, 낮은 신용, 정보의 부족 및 비대칭, 금융에 대한
어려운 접근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누구라도
‘금융소외’가 될 수 있습니다.

*파이낸셜헬스(Financial Health)란?
예산에 맞는 지출관리(Spend), 저축습관 형성(Save), 부채와 예측할 수 없는 재무적 위기상황을 대비하는 것(Borrow), 미래와 노후를 위한 준비(Plan)를 일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 소득과 지출관리, 저축, 신용, 대출, 보험, 노후준비 등의 금융생활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쉽게 실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.
특히, 저소득층과 중위소득(low to moderate income)에게는 더욱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.

헬스케어 분야

Health Care

건강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행복한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. 시공간을 초월하는 사용자 맞춤형의 질 높은 헬스케어 서비스와 예방에 중심을 둔 케어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건강을 손쉽게 관리해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.

금융포용 분야 Financial Health

자영업 부채 증가

자영업자 대출 규모 (2021 금융안정보고서)

2021년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88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.2% 증가 


소득 증가보다 빠른 부채 증가 속도

부채보유 가구의 평균 부채 및 소득 (신한은행)

22021년 평균 부채액은 2020년보다 16.1% 증가 2021년 가계의 월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0%에 달함


코로나19로 커진 자산격차

자산구간별 부동산 자산 규모 (신한은행, 20-64 경제활동자 1만명 대상)

저·고소득층 소득 격차는 20년 대비 21년에 약 90배 더 커지며 양극화 심화


시니어 금융소외 가속화

연령별 디지털 정보화 활용수준 (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, 일반국민 100% 기준)

60세 이상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평균 57.65%로 특히 금융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고령층의 금융 소외 가속화

헬스케어 분야 Health Care

자영업 부채 증가

자영업자 대출 규모 (2021 금융안정보고서)

2021년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88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.2% 증가 


자영업 부채 증가

자영업자 대출 규모 (2021 금융안정보고서)

2021년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88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.2% 증가 


inclusion.metlife@gmail.com

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16(역삼2동, 메트라이프타워) 

이용 약관 | 개인정보처리방침


 

© Metlife Korea Foundation. 2022. ALL RIGHTS RESERVED.